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지금 소개해드릴 영화는 1993년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고전 영화 <쉰들러 리스트>입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의 유대인 학살로부터 유대인을 구하기 위해 헌신한 독일 사업가 오스카 쉰들러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말 그대로 드라마틱한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전 세계적으로 큰 호평과 수상을 받았으며, 영화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작품 중 하나로 꼽힙니다. 영화의 줄거리와 등장인물, 국내 및 해외 평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줄거리
이 영화는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일어난 사건을 바탕으로 합니다. 영화의 주인공은 오스카 쉰들러라는 독일 사업가로, 전쟁을 이용해 부를 쌓으려는 인물입니다. 폴란드 크라쿠프에 있는 유대인 수용소의 노동력을 이용해 냄비 공장을 운영하는 쉰들러는 처음에는 유대인을 단순히 이용해야 할 대상으로 여겼지만 점차 유대인에게 동정심을 느끼고 나치의 학살에 반대합니다. 쉰들러는 자신의 모든 능력을 동원해 유대인 명단을 작성하고, 명단에 있는 유대인들을 자신의 공장으로 옮겨 보호합니다. 이런 식으로 쉰들러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1,100명의 유대인의 목숨을 구하는 데 성공합니다.
등장인물
- 오스카 쉰들러(리암 니슨): 홀로코스트에서 유대인을 구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독일 사업가이며, 리암 니슨은 이 영화에서 쉰들러의 인간적인 변화와 갈등을 섬세하게 묘사해 극찬을 받았습니다.
- 이츠하크 슈타인(벤 킹슬리): 쉰들러의 공장에서 일하는 유대인 회계사로, 쉰들러가 유대인을 구할 수 있도록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벤 킹슬리는 영화에서 슈텐의 지혜와 용기를 잘 묘사해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수상했습니다.
- 아몬 괴테(레이프 파인즈): 유대인 학살에 책임이 있는 나치 수용소 책임자. 레이프 파인즈는 이 영화에서 괴테의 잔인하고 무자비한 성격을 완벽하게 묘사하여 공포와 혐오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 에밀리 쉰들러(캐롤라인 구달): 오스카 쉰들러의 아내인 에밀리는 쉰들러의 행동에 대해 이해하고 지지하지만 결국 그와 헤어지게 됩니다. 캐롤라인 구달은 이 영화에서 에밀리의 상처와 외로움을 훌륭하게 표현했습니다.
- 헬렌 허쉬(엠베스 다비츠): 괴테의 집에서 일하는 유대인 하녀로 괴테에게 학대받는 인물이며, 이 영화에서 헬렌의 고통과 불안을 감동적으로 묘사해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했습니다.
국내 해외 평가
- 국내 평가: 국내에서도 많은 관심과 호평을 받았습니다. 영화 평론가들로부터도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영화 평점 네이버 영화에서 평균 9.36점, 영화 평론가들로부터 평균 9.5점을 기록했습니다. 영화제 수상 1994년 제31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외국영화상, 1995년 제15회 청룡영화상에서 외국영화상을 수상하며 영화제에서도 많은 상을 수상했습니다.
- 해외 평가: 이 영화는 해외에서도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1993년 12월 15일 미국에서 개봉해 3억 2천만 달러가 넘는 흥행 수익을 올리며 당시 역대 최고 수익을 올린 영화 중 하나로 기록되었습니다. 이 영화는 영화 평론가들로부터도 호평을 받았으며 IMDb에서 9.3점이라는 높은 평점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영화는 또한 영화제에서 수많은 상을 수상했습니다. 1994년 제66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12개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어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등 7개 부문에서 수상했습니다. 또한 1994년 제51회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6개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어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등 3개 부문에서 수상했습니다.
이것으로 인간의 악과 선, 죽음과 삶, 희망과 절망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공하는 영화 <쉰들러 리스트>에 대한 소개를 마치겠습니다.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쉰들러의 이야기는 깊은 감동과 교훈을 줍니다. 스티븐 스필버그가 천재적으로 연출하고 촬영한 이 영화는 존 윌리엄스의 아름다운 음악과 뛰어난 출연진의 뛰어난 연기로 완성되었습니다. 이 영화는 전쟁의 공포와 유대인의 고통을 더욱 강조하기 위해 흑백으로 촬영되었습니다. 쉰들러의 관점과 유대인의 희망을 상징하는 컬러는 몇몇 장면에서만 사용되었습니다. 이 영화는 영화 역사상 걸작으로 꼽히며 수많은 사람들에게 영화의 힘과 가치를 보여주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