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이번에 월세 계약을 하시려고 하는 분들을 위해 월세 계약시 주의사항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월세 계약은 보증금과 월세, 관리비 등 여러 가지 요소가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꼼꼼하게 확인하고 준비해야 합니다. 다음 내용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월세 계약시 주의사항
월세 계약을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주의해야 합니다.
1. 임대인 확인
월세 계약을 할 때에는 임대인이 직접 나와서 계약을 해야 합니다. 임대인 대신 대리인이 나오는 경우에는 대리권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요구해야 합니다. 임대인의 신분증, 인감증명서, 등기부등본 등을 확인하고, 대리인의 신분증과 위임장도 확인해야 합니다. 임대인이나 대리인과의 연락처도 꼭 기록해 두세요.
2. 보증금과 월세 조정
월세 계약을 할 때에는 보증금과 월세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보증금이 높으면 월세가 낮고, 보증금이 낮으면 월세가 높습니다. 보증금과 월세는 100만 원 당 1만 원 정도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보증금이 500만 원이고 월세가 50만 원이라면, 보증금을 300만 원으로 줄이고 월세를 52만 원으로 올릴 수 있습니다. 보증금과 월세는 중개사와 협의하고, 계약서에 명확하게 기재해야 합니다.
3. 관리비 확인
월세 계약을 할 때에는 관리비도 꼭 확인해야 합니다. 관리비에는 전기세, 가스비, 수도세, 인터넷, TV, 엘리베이터, 건물 청소, 택배 보관함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관리비가 포함되지 않은 공과금은 별도로 납부해야 합니다. 관리비는 관리사무소나 임대인에게 문의하고, 계약서에 디테일하게 기재해야 합니다. 관리비가 너무 비싸다면 흥정할 수도 있습니다.
4. 옵션 확인
월세 계약을 할 때에는 옵션도 꼭 확인해야 합니다. 옵션에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가스레인지, 전자레인지, TV 등이 있습니다. 옵션은 집의 품질과 가격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잘 살펴봐야 합니다. 옵션은 중개사나 임대인에게 문의하고, 계약서에 명확하게 기재해야 합니다. 옵션은 입주 전과 입주 후에도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옵션에 고장이나 파손이 있으면 임대인에게 수리나 교체를 요청해야 합니다.
5. 근저당 확인
월세 계약을 할 때에는 근저당도 꼭 확인해야 합니다. 근저당은 임대인이 집을 담보로 빚을 낸 것입니다. 근저당이 많으면 임대인의 부도 위험이 높고, 임차인의 권리가 침해될 수 있습니다. 근저당은 등기부등본이나 인터넷등기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근저당은 보증금과 월세를 합친 금액보다 적어야 안전합니다. 근저당이 많거나 없는 집을 선호합니다.
6. 계약 기간 확인
월세 계약을 할 때에는 계약 기간도 꼭 확인해야 합니다. 계약 기간은 일반적으로 1년이나 2년입니다. 계약 기간은 임대인과 임차인의 합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약 기간은 계약서에 명확하게 기재해야 합니다. 계약 기간이 끝나면 임대인과 임차인은 계약을 연장하거나 해지할 수 있습니다. 계약을 연장하려면 보증금과 월세를 재협의해야 합니다. 계약을 해지하려면 보증금을 반환받아야 합니다.
7. 계약서 작성
월세 계약을 할 때에는 계약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계약서는 임대인과 임차인의 권리와 의무를 명시하는 문서입니다. 계약서는 임대인이 작성하거나 중개사가 작성할 수 있습니다. 계약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 임대인과 임차인의 성명, 주소, 연락처
- 임대물건의 위치, 구조, 면적, 층수
- 보증금과 월세, 관리비, 공과금의 금액과 납부 방법
- 계약 기간과 입주일, 확정일자
- 옵션과 근저당의 유무와 내역
- 하자 보수와 손해 배상의 책임과 방법
- 계약 해지와 보증금 반환의 조건과 방법
- 특약사항
계약서는 임대인과 임차인이 모두 읽고 이해하고 동의한 후에 서명하고 인감을 찍어야 합니다. 계약서는 임대인과 임차인이 각각 한 부씩 보관해야 합니다.
8. 중개 수수료 납부
월세 계약을 할 때에는 중개 수수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중개 수수료는 공인중개사가 계약을 도와준 대가로 받는 금액입니다. 중개 수수료는 임대인과 임차인이 각각 반씩 납부해야 합니다. 중개 수수료는 보증금과 월세를 합친 금액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중개 수수료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 보증금 + (월세 × 100만 원)이 5천만 원 미만인 경우: 0.5%
- 보증금 + (월세 × 100만 원)이 1억 원 미만인 경우: 0.4%
- 보증금 + (월세 × 100만 원)이 6억 원 미만인 경우: 0.3%
- 보증금 + (월세 × 100만 원)이 6억 원 이상인 경우: 0.2%
중개 수수료는 현금으로 납부하거나 계좌이체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중개 수수료는 계약서에 명확하게 기재하고, 영수증을 받아야 합니다. 중개 수수료는 법적으로 정해진 한도를 초과하면 안 됩니다.
9. 입주 점검
월세 계약을 할 때에는 입주 점검도 꼭 해야 합니다. 입주 점검은 집의 상태와 시설을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입주 점검은 임대인이나 중개사와 함께 하거나, 전문가에게 의뢰할 수 있습니다. 입주 점검은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체크해야 합니다.
- 벽, 바닥, 천장, 문, 창문, 발코니 등의 흠집, 균열, 변색, 누수, 색출, 곰팡이 등
- 전기, 가스, 수도, 난방, 환기, 소화기, 감지기 등의 작동, 안전, 누설, 냄새, 소음 등
-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가스레인지, 전자레인지, TV 등의 작동, 성능, 청결, 소음 등
- 샤워기, 수전, 변기, 세면대, 수도꼭지, 배수구 등의 작동, 누수, 청결, 냄새, 곰팡이 등
- 책상, 의자, 침대, 옷장, 신발장, 수납장 등의 상태, 청결, 안전, 공간 등
입주 점검에서 발견된 하자나 결함은 임대인에게 보고하고, 수리나 교체를 요청해야 합니다. 입주 점검에서 발견된 하자나 결함은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증거를 남겨야 합니다. 입주 점검에서 발견된 하자나 결함은 계약서에 특약사항으로 기재하고, 임대인과 임차인이 서명하고 인감을 찍어야 합니다.
10. 입주 준비
월세 계약을 할 때에는 입주 준비도 해야 합니다. 입주 준비는 집을 살기 좋은 상태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입주 준비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 집의 청소와 소독, 방충망 설치, 커튼 설치, 조명 설치, 인테리어 등
- 집의 보안과 안전, 비상연락처, 주변 환경, 이웃과의 인사 등
- 집의 생활용품과 가구, 의류와 신발, 식료품과 생필품, 약품과 위생용품 등
입주 준비는 임차인의 취향과 예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입주 준비는 임대인이나 중개사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입주 준비는 잘하면 집을 편안하고 쾌적하게 살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월세 계약시 주의사항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월세 계약은 임대인과 임차인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하게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월세 계약을 할 때에는 위에서 언급한 사항들을 잘 확인하고 준비하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